“어디서부터 불어온 바람이었을까
밤의 적막함은 끝없는 고독의 나락으로 떨어져 추락해 버리고
한순간의 사랑도 미움도
인연의 부질 없음에 잡지도 말고 막지도 말자
그래 가야지 돌아서는 계절
저물어 가는 가을과 함께
어차피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혼자였고 외로운 존재인걸
매서운 칼바람 불어오는
겨울이란 인연이 찾아오고 있음을 가슴에 느끼면서”
임경 유희수 <돌아서는 계절>
‘담벽(壁) 길에 떨어진 나무 그림자(Tree Shadows on the Wall)’ 존 앳킨슨 그림쇼(John Atkinson Grimshaw) 1872. / 겨울로 향하는 길손이 보이는 쓸쓸한 이 작품은 '브람스 교향곡 제4번'의 이미지와 놀랍도록 비슷하다.
모두들 돌아서고 있습니다. 차마 한 발자국마저도 내딛지 못한 채, 얼음 발처럼 차가운 가슴을 안고 저렇게들 돌아서고 있습니다.
봄이면 복사꽃에 영산홍이 흐드러지게 필 산허리 언덕과 겨우내 언 눈물 녹일 그 화해의 문턱을 보고도 추위에 시릴 손이 안쓰러워 가슴을 부여잡은 채 돌아서고 있습니다.
완충의 고요한 땅 한 떼기 없는, 모조리 일선으로 둔갑한 이 강산 위에서 목놓아 통곡도 못하고 움찔움찔 세월을 삼키면서 눈만 발갛게 뜨고 옹기종기 모였습니다.
12월의 발자국 소리가 멀리서 다가와 이내 문을 두드리며 닫힌 가슴들을 열라, 열라 소리를 외치는데 자꾸만 움츠러드는 몸피는 땅속 깊숙이 잠겨 들고 있습니다. 이렇듯 꽁꽁 얼어붙을 겨울을 바라보는 이 계절은 왜 이리도 몰인정하고 야박스러운지요.
사생결단이 난 젊음, 조급증에 갈증이 혓바늘처럼 돋는 인생을 수레에 싣고 맨살 맨 허리로 끌면서 한 해의 끄트머리를 봅니다.
찬 바람이 거세지고 나무에는 공허만이 나부끼며 얼어붙은 땅들이 모질게도 잇몸을 부딛는 동토(凍土)의 계절. 이제 한 철만 지나면 또다시 따뜻한 봄날이 찾아오련만 한겨울 한파의 육중함을 견뎌야 하는 부담감 때문인지 자꾸만 지나온 계절들이 그리워 모두들 돌아서는 몸짓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래봐야 아무데도 갈 곳 없는 사람들이.....
작곡가, 요하네스 브람스(1833~1897)????
오늘 소개할 곡은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의 <교향곡 제4번>입니다.
브람스는 그의 나이 52세가 되던 1884년 여름 마지막 교향악 작품으로 제4번 교향곡을 쓰기 시작했는데, 그즈음 그는 종래 느껴보지 못했던 인생의 허무함과 고독을 절실하게 실감하고 있었습니다.
‘빈(Wien)’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뮈르추 슬라크’ 라는 곳에서 잠시 요양하며 지내게 된 그는 젊은 날의 사랑과 예술에 대한 정열 그리고 아름다운 추억에 젖는 시간이 많았습니다. 그래서인지 교향곡 제4번은 우수어린 색채가 전편에 걸쳐 흐르고 있습니다.
사실 이 교향곡 제4번을 작곡하기 전 제1번, 2번, 3번에서 보여준 교향악 작품의 세계는 베토벤에게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아왔습니다. 제1번은 베토벤의 '운명', 제2번은 '전원', 제3번은 '영웅'과 흡사한 느낌을 떨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제4번에 이르러서는 어두움으로 시작해서 점점 광명으로 향하는 베토벤의 구도를 버리고 어두움으로부터 비극으로 침잠해 가는 자신만의 교향곡 모델을 확립하게 됩니다. 그래서 제4번 교향곡은 진정한 브람스만의 음악이며 아무도 이 교향곡을 베토벤의 작품에 빗대지 않았습니다.
출처 : 문화뉴스(https://www.mhns.co.kr)